개발/Git 썸네일형 리스트형 [Git]git format-patch를 사용하는 방법 간혹 로컬 환경에서 개발한 사항을 실제 운영에 반영하고자 할때, 대상 운영서버가 폐쇄망으로 되어 있어 로컬에서 커밋내역을 바로 push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. 그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patch 명령어이다. git format-patch -2[반영하고자 하는 커밋 수] 의 방법으로 커밋 이력을 하나의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. 해당 파일들을 반영하고자 하는 소스코드가 적용된 곳으로 옮긴 뒤, git am 0001file[파일명]을 통해 커밋 이력을 반영시킬 수 있다. 더보기 [Git]기본 에디터를 notepad++ 로 지정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git bash를 통해 commit을 하면 커밋메세지를 입력하는 vi 에디터가 열리게 된다. 하지만 vi에디터 대신 다른 에디터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. 내가 주로 사용하는 notepad++을 기준으로 변경하고자 한다면...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변경이 가능하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git config --global core.editor "'C:/Program Files (x86)/Notepad++/notepad++.exe' -multiInst -notabbar -nosession.. 더보기 이전 1 다음